지난달 28일 호암교수회관(125동)에서 용역파견근로자 근로자대표단 구성 회의가 열렸다. 이번 회의에선 문재인 정부의 비정규직 정규직화 지침에 따라 노동자 대표, 본부 위원, 외부 전문가를 포함해 20명의 대표로 이뤄진 ‘노사 및 전문가 협의회’(협의회)가 구성됐다. 이날 노동자 측은 일반노조, 시설노조, 기계·전기노조(기전노조) 등 10개 단체가 참여한 가운데 총 8명의 대표자를 선출했다.

노동자 측의 각 단체는 고용 안정화를 골자로 하는 요구조건들을 제시할 계획이다. 노동자 측 대표로 선출된 일반노조 서울대분회 최분조 분회장은 “본부가 자회사를 설립해 고용하는 방식 대신 총장 발령으로 직접 고용해 노동자들의 고용 안정을 보장하는 것이 최우선적 목표”라며 “특히 일반노조에서는 청소·경비 노동자의 직접 고용, 정원 감축 없는 정규직화, 호봉제 적용, 정년 70세 보장 등을 요구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현재 청소·경비 노동자의 정년은 65세이며 이후 3년의 촉탁 기간을 가질 수 있다. 촉탁 기간은 노동자가 정규 직원으로 고용계약을 맺지 않고 업무에 종사하는 기간을 말한다. 노동자 측 부대표로 선출된 시설노조 민갑동 위원장은 “나이가 많은 청소·경비 노동자들은 일자리를 잃으면 새로 일자리를 구하기가 힘들다”며 “시설노조 역시 고용 안정이라는 큰 기조 아래 정년을 70세까지 연장하는 안을 우선적으로 요구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기전노조도 정년 68세 보장을 요구하는 것을 제외하면 일반노조와 비슷한 요구사항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본부도 노동자 측의 요구사항이 정부의 지침에 어긋나지 않는다면 이들의 요구를 최대한 수용할 것으로 보인다. 캠퍼스관리과는 “협의회가 고용노동부에서 하달된 지침에 따라 구성된 기구인 만큼, 요구사항이 지침에 어긋나는지의 여부만이 판단 기준이 될 것”이라며 “일차적으로 고용 안정에 관해 논의하고 난 뒤 복지와 처우 개선에 대해 이야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협의회의 구체적인 목표 설정과 향후 활동 방향은 오는 6일(수)에 있을 협의회 회의를 통해 논의될 예정이다. 최분조 분회장은 “지난달 회의에서는 노동자 대표 8명이 구성됐다는 것 외에 아직 확정된 내용이 없다”며 “본부와 노동자 대표가 모두 모인 자리에서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할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